본문
<세 권의 책>이라는 이벤트 주제를 보자마자 머리 속에 반사적으로 떠오른
<캔디 캔디> <베르사이유의 장미> <백조>...를 떨쳐내고 ^^;;
고1 때부터 적고 있는(아니 적었던... 최근 2-3년간은 게으름 피느라 안 적었음)
독서 노트를 펴 봤다.
독서 노트래봤자 독후감이나 내용 요약을 적은 건 아니고
읽은 날짜와 책 제목, 지은이 정도만 쓴 거지만
그래도 가끔 이걸 들쳐보고 있자면 잊었던 책들이 죽 떠오른다.
그런데...
남들한테 줄곧 책벌레 소리 들어가며 읽긴 했는데도
어떤 님 말씀처럼 질보다는 양으로 승부를 걸었던 탓인지,
그리고 정독을 절대 못하고 그저 눈으로 슥슥 훑어가는,
게다가 무거운 책보다는 그때 그때 관심있는,
가벼운 책을 손에 잡히는 대로 읽는 책읽기 습관 때문일까.
내 독서 노트에는 소위 말하는 "고전"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.
(확실히 난 문학소녀는 절대 아니었던 거야... ㅠ_ㅠ)
나한테 있어서의 <세 권>을 골라보려니
수많은 책들이 여러가지 의미에서 마음에 남는다.
우리집에 있던 한국문학전집 중에서 가장 먼저 읽었던 심훈의 <상록수>.
세계문학전집 중에서 처음 읽었던 보카치오의 <데카메론>.
... 중2 때였는데, 상당히 야한 내용 때문에 엄마가 슬쩍 숨겨놓으면
또 열심히 찾아내서 읽곤 했다... ^^
여러 번 되풀이해서 읽을 때마다 느낌이 달랐고
다 이해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헤세를 좋아하게 해 준 <데미안>.
<갈매기의 꿈>에 이어 리처드 바크에 한참동안 빠지게 만든 <환상>.
그냥 좋아서 읽고 읽고 또 읽었던 <제인에어>와 <바람과 함께 사라지다>.
다양한 인생을 보여주던 <오헨리 단편집>.
고등학교 때 너무너무 마음 저리게 좋아했던 친구에게
연애편지처럼 매일 한 편씩 엽서에 적어서 부치던 조병화 시집 <남남>.
샘터사에서 나온 <노란 손수건> 시리즈.
또...
<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>와 <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>.
대2 겨울방학 때 날밤 새우면서 읽었던 <지리산>과 <태백산맥>과 <토지>.
입사 후 몇 년이 지나서 직장 생활이 슬슬 지겨워지고
결혼하고 나서 여러가지 생각이 많을 때 힘을 북돋워 준
<프로의 남녀는 차별되지 않는다>와
<세상은 내게 모든 것을 가지라 한다>와
<과학원 아이들>.
요새 내게 일본어를 잘하고 싶다는 의욕을 팍팍 넣어주고 있는
<은하영웅전설>, 그리고 <불꽃의 미라쥬>까지...
이렇게 많은 책 가운데에서 [내게 새로운 길을 알려준 책 세 권]을 골라봤다.
1. <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: 또하나의 문화 제2호>
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다기보다는 내 기억이 미치는 시절부터 항상
이 사회에 뿌리박고 있는 여자와 남자의 불평등에
관심이 무척 많았고 예민했다.
순리대로 생각해 봤을 때 당연히 틀린 것이
너무나 자연스럽게 통용되는게 견디기 힘들었다고 할까.
대학 3학년 가을에 도서관에서 만난 이 <또하나의 문화> 동인지는
(지금까지 열다섯 권이 나와있다)
그 전에 들었던 "여성학" 수업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
내 안을 다져줬고 두고두고 힘이 되었다.
멀게 느껴지는 이론이나 외국의 사례가 아닌,
내 주위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를 짚어줬기 때문일 거다.
또문 동인지를 시작으로 엄청나게 읽어댔던 이 분야 책들 덕분에
직장에서나, 결혼생활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
내 문제로만 생각해서 좌절하지 않고 싸울(!) 힘을 얻었다.
그 시작이 된 책이다.
2. <마음 가는 대로 해라> 앤드류 매튜스
자기의 마음을 속이면 언젠가는 꼭 댓가를 치르게 된다.
앞으로 무얼 하면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한 적이 두 번.
두 번 다 진짜로 하고 싶은 것, 마음이 끌리는 것을 억눌러 두고
더 안전한 것, 남보기에 그럴싸한 쪽을 골랐지만
덮어둔 고민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시작됐다.
재작년 가을에 만난 이 책은 나한테 "힘 내, 하고 싶은 걸 해!" 라고 말해줬고,
난 이제 더 이상 '지금은 준비하고(또는 참고) 나중에 행복하게 살'려고
하지 않는다.
3. <트리갭의 샘물> 나탈리 배비트
아이가 자라면서 다시 어린이책을 하나 둘씩 사게 되었고 함께 즐겼다.
아이의 나이에 맞추어서 그림책에 푹 빠져있다가 이 책을 읽었고,
어린 시절에 읽던 추억의 동화가 아니라
어른이 된 후에 알게 되어 처음으로 맘에 쏙 들었던 동화다.
내 관심을 그림책 공부에서 외국동화 공부로 돌려놓은 책.
왠지 쓰고나니 창피하지만
그래도 책 이야기를 쓸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기쁘다.
2000/10/31
주부동호회 문화방 이벤트 "이 세 권의 책">
<캔디 캔디> <베르사이유의 장미> <백조>...를 떨쳐내고 ^^;;
고1 때부터 적고 있는(아니 적었던... 최근 2-3년간은 게으름 피느라 안 적었음)
독서 노트를 펴 봤다.
독서 노트래봤자 독후감이나 내용 요약을 적은 건 아니고
읽은 날짜와 책 제목, 지은이 정도만 쓴 거지만
그래도 가끔 이걸 들쳐보고 있자면 잊었던 책들이 죽 떠오른다.
그런데...
남들한테 줄곧 책벌레 소리 들어가며 읽긴 했는데도
어떤 님 말씀처럼 질보다는 양으로 승부를 걸었던 탓인지,
그리고 정독을 절대 못하고 그저 눈으로 슥슥 훑어가는,
게다가 무거운 책보다는 그때 그때 관심있는,
가벼운 책을 손에 잡히는 대로 읽는 책읽기 습관 때문일까.
내 독서 노트에는 소위 말하는 "고전"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.
(확실히 난 문학소녀는 절대 아니었던 거야... ㅠ_ㅠ)
나한테 있어서의 <세 권>을 골라보려니
수많은 책들이 여러가지 의미에서 마음에 남는다.
우리집에 있던 한국문학전집 중에서 가장 먼저 읽었던 심훈의 <상록수>.
세계문학전집 중에서 처음 읽었던 보카치오의 <데카메론>.
... 중2 때였는데, 상당히 야한 내용 때문에 엄마가 슬쩍 숨겨놓으면
또 열심히 찾아내서 읽곤 했다... ^^
여러 번 되풀이해서 읽을 때마다 느낌이 달랐고
다 이해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헤세를 좋아하게 해 준 <데미안>.
<갈매기의 꿈>에 이어 리처드 바크에 한참동안 빠지게 만든 <환상>.
그냥 좋아서 읽고 읽고 또 읽었던 <제인에어>와 <바람과 함께 사라지다>.
다양한 인생을 보여주던 <오헨리 단편집>.
고등학교 때 너무너무 마음 저리게 좋아했던 친구에게
연애편지처럼 매일 한 편씩 엽서에 적어서 부치던 조병화 시집 <남남>.
샘터사에서 나온 <노란 손수건> 시리즈.
또...
<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>와 <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>.
대2 겨울방학 때 날밤 새우면서 읽었던 <지리산>과 <태백산맥>과 <토지>.
입사 후 몇 년이 지나서 직장 생활이 슬슬 지겨워지고
결혼하고 나서 여러가지 생각이 많을 때 힘을 북돋워 준
<프로의 남녀는 차별되지 않는다>와
<세상은 내게 모든 것을 가지라 한다>와
<과학원 아이들>.
요새 내게 일본어를 잘하고 싶다는 의욕을 팍팍 넣어주고 있는
<은하영웅전설>, 그리고 <불꽃의 미라쥬>까지...
이렇게 많은 책 가운데에서 [내게 새로운 길을 알려준 책 세 권]을 골라봤다.
1. <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: 또하나의 문화 제2호>
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다기보다는 내 기억이 미치는 시절부터 항상
이 사회에 뿌리박고 있는 여자와 남자의 불평등에
관심이 무척 많았고 예민했다.
순리대로 생각해 봤을 때 당연히 틀린 것이
너무나 자연스럽게 통용되는게 견디기 힘들었다고 할까.
대학 3학년 가을에 도서관에서 만난 이 <또하나의 문화> 동인지는
(지금까지 열다섯 권이 나와있다)
그 전에 들었던 "여성학" 수업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
내 안을 다져줬고 두고두고 힘이 되었다.
멀게 느껴지는 이론이나 외국의 사례가 아닌,
내 주위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를 짚어줬기 때문일 거다.
또문 동인지를 시작으로 엄청나게 읽어댔던 이 분야 책들 덕분에
직장에서나, 결혼생활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
내 문제로만 생각해서 좌절하지 않고 싸울(!) 힘을 얻었다.
그 시작이 된 책이다.
2. <마음 가는 대로 해라> 앤드류 매튜스
자기의 마음을 속이면 언젠가는 꼭 댓가를 치르게 된다.
앞으로 무얼 하면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한 적이 두 번.
두 번 다 진짜로 하고 싶은 것, 마음이 끌리는 것을 억눌러 두고
더 안전한 것, 남보기에 그럴싸한 쪽을 골랐지만
덮어둔 고민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시작됐다.
재작년 가을에 만난 이 책은 나한테 "힘 내, 하고 싶은 걸 해!" 라고 말해줬고,
난 이제 더 이상 '지금은 준비하고(또는 참고) 나중에 행복하게 살'려고
하지 않는다.
3. <트리갭의 샘물> 나탈리 배비트
아이가 자라면서 다시 어린이책을 하나 둘씩 사게 되었고 함께 즐겼다.
아이의 나이에 맞추어서 그림책에 푹 빠져있다가 이 책을 읽었고,
어린 시절에 읽던 추억의 동화가 아니라
어른이 된 후에 알게 되어 처음으로 맘에 쏙 들었던 동화다.
내 관심을 그림책 공부에서 외국동화 공부로 돌려놓은 책.
왠지 쓰고나니 창피하지만
그래도 책 이야기를 쓸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기쁘다.
2000/10/31
주부동호회 문화방 이벤트 "이 세 권의 책">